제목 |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장애인 고등교육지원 등) | ||||
---|---|---|---|---|---|
등록일 | 2022-02-09 | 등록자 | 남궁양숙 | 조회수 | 3313 |
첨부파일 | [교육부 02-09(수) 14시보도자료] 제3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교육부 02-09(수) 14시보도자료] 제3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hwpx 다운로드 미리보기 [별첨1] 디지털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추진방안.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별첨2] 장애인 고등교육지원 종합방안.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별첨3]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점검 결과 및 개선 방향.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 ||||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장애인 고등교육지원 등)
주요내용 □ 디지털 대전환 흐름에서 지역균형 성장을 위해 지자체 간 공유·협력을 지원하는 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추진방안 발표 □ 장애인의 고등교육 접근성 향상과 대학 내 장애대학(원)생의 실질적 학습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 고등교육 지원 종합방안 발표 □ 인공지능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점검 및 개선 방향 논의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2월 9일(수)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한다. 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추진방안 □ 이번 방안은 디지털 대전환의 흐름에서 모든 지역이 고르게 성장하고, 디지털 기술이 지역균형 발전에 돌파구 역할을 하도록 지원하려는 것이다. ㅇ 이를 위해 지자체 간 개방·공유·협력 확대와 우수사례 확산을 지원하고, 지자체별 특화 정책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뒷받침한다. □ [교육] 어디서나 배울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한다. ㅇ 지역 간 교육격차를 완화할 수 있도록 각 지역의 대학생(청년)과 초·중·고 학생 간 온라인 학습·상담 지원(멘토링) 도입을 확대*한다. * 전북·제주 지역 등 신규 추진, 이미 추진 중인 서울은 지원 대상지역 등 사업범위 확대
|
|||||
![]() 교육부(이)가 창작한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장애인 고등교육지원 등)」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제목 |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장애인 고등교육지원 등) | ||||
---|---|---|---|---|---|
등록일 | 2022-02-09 | ||||
등록자 | 남궁양숙 | 조회수 | 3313 | ||
첨부파일 | [교육부 02-09(수) 14시보도자료] 제3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교육부 02-09(수) 14시보도자료] 제3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hwpx 다운로드 미리보기 [별첨1] 디지털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추진방안.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별첨2] 장애인 고등교육지원 종합방안.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별첨3]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점검 결과 및 개선 방향.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 ||||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장애인 고등교육지원 등)
주요내용 □ 디지털 대전환 흐름에서 지역균형 성장을 위해 지자체 간 공유·협력을 지원하는 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추진방안 발표 □ 장애인의 고등교육 접근성 향상과 대학 내 장애대학(원)생의 실질적 학습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 고등교육 지원 종합방안 발표 □ 인공지능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점검 및 개선 방향 논의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2월 9일(수)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한다. 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추진방안 □ 이번 방안은 디지털 대전환의 흐름에서 모든 지역이 고르게 성장하고, 디지털 기술이 지역균형 발전에 돌파구 역할을 하도록 지원하려는 것이다. ㅇ 이를 위해 지자체 간 개방·공유·협력 확대와 우수사례 확산을 지원하고, 지자체별 특화 정책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뒷받침한다. □ [교육] 어디서나 배울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한다. ㅇ 지역 간 교육격차를 완화할 수 있도록 각 지역의 대학생(청년)과 초·중·고 학생 간 온라인 학습·상담 지원(멘토링) 도입을 확대*한다. * 전북·제주 지역 등 신규 추진, 이미 추진 중인 서울은 지원 대상지역 등 사업범위 확대
|
|||||
![]() 교육부(이)가 창작한 「제3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디지털 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정책, 장애인 고등교육지원 등)」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