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이전으로

인기 검색어

통합검색

이전으로

  • 실시간 인기 검색어

보도자료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
제목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
등록일 2020-06-17 등록자 남궁양숙 조회수 6573
첨부파일 [교육부 06-18(목) 조간보도자료]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담당과
미래교육기획과 과장 직무대리 마소정 (☎044-203-6595)
사무관 임효진 (☎044-203-6264)
기획담당관 과 장 문상연 (☎044-203-6636)
사무관 신민영 (☎044-203-6638)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


◈ 미래교육위원회 2기 출범 기념 1차 회의 계기, 미래교육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열린 대화 본격 시작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6월 17일(수), ‘제2기 미래교육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힌다.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우리에게 던져진 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현장과 함께 고민하고, 기존 교육체제를 넘어 새로운 교육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마련한다.
ㅇ 그동안 교육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하여 학생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열정과 전문성을 겸비한 교원·학부모와 함께, 최초의 온라인 개학과 원격수업에 이어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을 병행하는 융합수업(blended learning)을 진행해오고 있다.
ㅇ 그 과정에서 교육 현장의 과감한 도전을 통해 전면 원격수업 운영 등 우리 교육 역사상 전례를 찾을 수 없는 초유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ㅇ 이 과정에서 현장의 힘을 확인하였고 미래교육의 모습을 한발 앞서 구현해볼 수 있었다.
ㅇ 그리고 이러한 성과를 미래로 나아가는 동력으로 발전·승화시켜, 미래교육으로의 대전환을 도모해야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었다.
ㅇ 이에 교육부는 ‘①감염병 등 위기 상황에서도 배움과 성장의 지속성 확보, ②소외되는 학생이 없도록 보편적 교육 보장, ③현장에 대한 신뢰를 기초로 교원의 전문성·자율성 존중, ④미래 환경 변화를 적극 수용한 선제적 대응, ⑤학생 건강과 안전의 최우선 보장’이라는 다섯 가지 원칙 및 방향 하에 미래교육 혁신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ㅇ 이와 함께, 미래교육 정책 준비단계에서부터 교원, 시민, 정책수요자, 전문가 등과 열린 대화를 연속적으로 추진하여 다양한 현장의 의견을 듣고 미래교육의 비전 및 전략, 세부 과제 등을 정립해나가고자 한다.

출처표시_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교육부(이)가 창작한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
제목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
등록일 2020-06-17
등록자 남궁양숙 조회수 6573
첨부파일 [교육부 06-18(목) 조간보도자료]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담당과
미래교육기획과 과장 직무대리 마소정 (☎044-203-6595)
사무관 임효진 (☎044-203-6264)
기획담당관 과 장 문상연 (☎044-203-6636)
사무관 신민영 (☎044-203-6638)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


◈ 미래교육위원회 2기 출범 기념 1차 회의 계기, 미래교육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열린 대화 본격 시작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6월 17일(수), ‘제2기 미래교육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힌다.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대화」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우리에게 던져진 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현장과 함께 고민하고, 기존 교육체제를 넘어 새로운 교육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마련한다.
ㅇ 그동안 교육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하여 학생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열정과 전문성을 겸비한 교원·학부모와 함께, 최초의 온라인 개학과 원격수업에 이어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을 병행하는 융합수업(blended learning)을 진행해오고 있다.
ㅇ 그 과정에서 교육 현장의 과감한 도전을 통해 전면 원격수업 운영 등 우리 교육 역사상 전례를 찾을 수 없는 초유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ㅇ 이 과정에서 현장의 힘을 확인하였고 미래교육의 모습을 한발 앞서 구현해볼 수 있었다.
ㅇ 그리고 이러한 성과를 미래로 나아가는 동력으로 발전·승화시켜, 미래교육으로의 대전환을 도모해야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었다.
ㅇ 이에 교육부는 ‘①감염병 등 위기 상황에서도 배움과 성장의 지속성 확보, ②소외되는 학생이 없도록 보편적 교육 보장, ③현장에 대한 신뢰를 기초로 교원의 전문성·자율성 존중, ④미래 환경 변화를 적극 수용한 선제적 대응, ⑤학생 건강과 안전의 최우선 보장’이라는 다섯 가지 원칙 및 방향 하에 미래교육 혁신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ㅇ 이와 함께, 미래교육 정책 준비단계에서부터 교원, 시민, 정책수요자, 전문가 등과 열린 대화를 연속적으로 추진하여 다양한 현장의 의견을 듣고 미래교육의 비전 및 전략, 세부 과제 등을 정립해나가고자 한다.

출처표시_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교육부(이)가 창작한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 1차 대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 기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