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이전으로

인기 검색어

통합검색

이전으로

  • 실시간 인기 검색어

보도자료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제목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등록일 2019-11-29 등록자 남궁양숙 조회수 16107
첨부파일 [교육부 11.30(토) 조간보도자료]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붙임]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담당과
교육기회보장과  과장 박지영(☎044-203-6746)
교육연구관 곽윤철(☎044-203-6523)
교육연구사 김다니엘(☎044-203-65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본부장 조지민(☎043-931-0308)

실장 구자옥(☎043-931-0513), 팀장 김희경(☎043-931-0224)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성기선)은 11월 29일(금)에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요

 (목적) 국가수준의 학업성취 수준 파악 및 추이 분석을 통한 학교교육의 성과 점검 및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
 (일시) 2019년 6월 13일(목) <6월 셋째 주 목요일>
 (대상)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중 표집학급 학생
     ※ 전체 학생(중3, 고2 학생 총 811,754명)의 약 3%, 24,936명(481개교)
 (영역) <교과> 국어, 수학, 영어 <정의적 영역> 학교생활 행복도, 교과 정의적 특성 설문

□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 성취수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년대비 영어의 성취도는 상승하고 국어, 수학은 비슷한 수준
◈ 중?고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도시 중학교가 읍면지역보다 성취도가 높음

 o 교과별 성취수준은 전년대비, 중·고등학교 모두 영어의 학업성취도는 상승하였고, 국어, 수학은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중학교 영어가 72.6%로 전년 대비 6.8%p 증가하였고, 고등학교 국어는 77.5%로 전년 대비 4.1%p 감소하였다

출처표시_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교육부(이)가 창작한 「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제목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등록일 2019-11-29
등록자 남궁양숙 조회수 16107
첨부파일 [교육부 11.30(토) 조간보도자료]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붙임]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담당과
교육기회보장과  과장 박지영(☎044-203-6746)
교육연구관 곽윤철(☎044-203-6523)
교육연구사 김다니엘(☎044-203-65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본부장 조지민(☎043-931-0308)

실장 구자옥(☎043-931-0513), 팀장 김희경(☎043-931-0224)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성기선)은 11월 29일(금)에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요

 (목적) 국가수준의 학업성취 수준 파악 및 추이 분석을 통한 학교교육의 성과 점검 및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
 (일시) 2019년 6월 13일(목) <6월 셋째 주 목요일>
 (대상)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중 표집학급 학생
     ※ 전체 학생(중3, 고2 학생 총 811,754명)의 약 3%, 24,936명(481개교)
 (영역) <교과> 국어, 수학, 영어 <정의적 영역> 학교생활 행복도, 교과 정의적 특성 설문

□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 성취수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년대비 영어의 성취도는 상승하고 국어, 수학은 비슷한 수준
◈ 중?고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도시 중학교가 읍면지역보다 성취도가 높음

 o 교과별 성취수준은 전년대비, 중·고등학교 모두 영어의 학업성취도는 상승하였고, 국어, 수학은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중학교 영어가 72.6%로 전년 대비 6.8%p 증가하였고, 고등학교 국어는 77.5%로 전년 대비 4.1%p 감소하였다

출처표시_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교육부(이)가 창작한 「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 기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