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 발표 | ||||
---|---|---|---|---|---|
등록일 | 2019-01-18 | 등록자 | 남궁양숙 | 조회수 | 5287 |
첨부파일 | [교육부 01.18(금) 조간보도자료]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 발표.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 ||||
[담당부서]교육부 학술진흥과 조의정 사무관(☎ 044-203?6653)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대학의 교육과 학술연구 경쟁력을 제고하는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을 확정·발표하였다.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수립 개요>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대학의 교육과 학술연구 경쟁력을 제고하는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을 확정·발표하였다. o 지난 1차 종합계획이 대학도서관의 자료를 확충하는 것에 주력하였다면, 이번 2차 종합계획은 이용자 중심으로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질 제고를 위한 전문적 서비스 강화 □ 대학 도서관을 통해 연구자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전자자료 제공 서비스를 확대 지원한다. □ 또한, 대학 도서관에서 연구수행 과정에서 연구단계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대학도서관 기본 기능인 도서 대출 기능을 발전시켜 학생들의 수업과 학습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추진한다. □ 또한, 기존에 ‘열람실’로만 인식되던 도서관 공간을 학생들의 수요와 변화된 학습 환경에 맞추어 토론?협업 활동, 열린제작실(메이커스페이스), 취?창업 활동 준비 공간 등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 대학도서관을 대학의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는 핵심기관으로 육성하고자 법적·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포함되었다. □ 향후, 각 대학에서는 이번 제2차 종합계획을 기초로 대학의 특성에 맞는 대학도서관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게 된다. □ 유은혜 부총리는 “대학들이 대학의 교육과 연구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도서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하여, ‘학문의 광장이자 대학의 심장’으로서 대학도서관의 기능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
|||||
교육부(이)가 창작한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 발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제목 |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 발표 | ||||
---|---|---|---|---|---|
등록일 | 2019-01-18 | ||||
등록자 | 남궁양숙 | 조회수 | 5287 | ||
첨부파일 | [교육부 01.18(금) 조간보도자료]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 발표.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 ||||
[담당부서]교육부 학술진흥과 조의정 사무관(☎ 044-203?6653)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대학의 교육과 학술연구 경쟁력을 제고하는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을 확정·발표하였다.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수립 개요>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대학의 교육과 학술연구 경쟁력을 제고하는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을 확정·발표하였다. o 지난 1차 종합계획이 대학도서관의 자료를 확충하는 것에 주력하였다면, 이번 2차 종합계획은 이용자 중심으로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질 제고를 위한 전문적 서비스 강화 □ 대학 도서관을 통해 연구자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전자자료 제공 서비스를 확대 지원한다. □ 또한, 대학 도서관에서 연구수행 과정에서 연구단계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대학도서관 기본 기능인 도서 대출 기능을 발전시켜 학생들의 수업과 학습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추진한다. □ 또한, 기존에 ‘열람실’로만 인식되던 도서관 공간을 학생들의 수요와 변화된 학습 환경에 맞추어 토론?협업 활동, 열린제작실(메이커스페이스), 취?창업 활동 준비 공간 등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 대학도서관을 대학의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는 핵심기관으로 육성하고자 법적·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포함되었다. □ 향후, 각 대학에서는 이번 제2차 종합계획을 기초로 대학의 특성에 맞는 대학도서관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게 된다. □ 유은혜 부총리는 “대학들이 대학의 교육과 연구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도서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하여, ‘학문의 광장이자 대학의 심장’으로서 대학도서관의 기능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
|||||
교육부(이)가 창작한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19년~’23년) 발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