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자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제목, 등록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의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설명자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등록일 2025-03-12 등록자 김은경 조회수 879
첨부파일
  • [교육부 03-11(화) 설명자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hwpx [ 445.9 KB ] 다운로드 미리보기
  •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 20MB 이상의 파일은 미리보기가 제한됩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 언론 보도내용
□ 경향신문은 「“고교학점제 대비? 어머니 이미 늦으셨어요” 학부모 불안 파고든 650만 원 컨설팅’(3.11.(화))」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
“전국 고교 10곳 중 2곳만 설명회”
“내신평가 기존 9등급→5등급제로 변별력 낮아지며 비교과 평가 중요”라고 언급
□ 파이낸스뉴스는 「정보 부족에 교사·학생도 고심... 학원가는 수강 컨설팅 ‘반색’[첫발 뗀 고교학점제](3.11.(화))」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
“일반계 고교 60곳 중 지난달 28일까지 신입생 대상 고교학점제 미안내 15곳, 학부모 미안내 25곳, 교원 연수 미시행 3곳”
“학원들은 안내 및 정보 부족으로 인한 학생·학부모 불안을 겨냥해, 한 학기 학생부 컨설팅 비용으로 350만 원 책정 등”이라고 언급
2.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를 꾸준히 준비하여 왔습니다.】
□ 고교학점제는 2017년 추진로드맵을 발표하고, 2018년부터 연구학교* 지정·운영 및 각종 홍보자료**를 개발·보급하는 등 7년 간 준비과정을 거쳐 올해 고1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면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 총 309개교(2018∼2024)
** 운영안내서 25종, 카드뉴스, 리플릿, 운영사례집 등 홍보자료 93종, 홍보영상 54종
□ 고교학점제가 그간 여러 해 동안 준비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 온 대표적인 성과는 학생 스스로 과목을 선택하여 다양하게 배우는 고교 교육과정 운영 체제 구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2025-03-12 게시글 일부가 수정되었습니다.
출처표시_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교육부(이)가 창작한 「[설명자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