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 기본계획 발표 : 제목, 등록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의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 기본계획 발표
등록일 2017-01-16 등록자 남궁양숙 조회수 7543
첨부파일
  • 01-16(월)조간보도자료_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육성사업 본격 추진.hwp [ 860.0 KB ] 다운로드 미리보기
  • [참고자료]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_총괄요약.hwp [ 44.5 KB ] 다운로드 미리보기
  • *시스템관리를 위해 20MB가 넘으면 미리보기가 제한 됩니다.

담당부서  : 일반대 :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이용욱 사무관(044-203-6446)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지원팀 김봉문 팀장(042-869-6410)

          전문대 : 교육부 취업창업교육지원과 엄중흠 사무관(044-203-6880)

          한국연구재단 전문대학지원팀 백승민 팀장(042-869-6420)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13일 공고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이하 ‘LINC+*’)”사업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신청 접수결과 104개 대학이 신청하였다고 밝혔다.

* LINC+ :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college) Cooperation +

? 신청대학은 권역별로 수도권 34개교, 충청권 21개교, 호남제주권 14개교, 대경강원권 18개교, 동남권 17개교이다.

수도권

충청권

호남제주권

대경강원권

동남권

대상 시·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충북, 충남, 세종

광주, 전북, 전남, 제주

대구, 경북, 강원

부산, 울산, 경남

신청학교 수

34

21

14

18

17

최대 경쟁률

3.4 : 1

2.1 : 1

1.4 : 1

1.8 : 1

1.7 : 1

최대 경쟁률 : 신청 대학 수 : 권역별 최소 선정 대학 수(10)

LINC+는 총 3,271억원의 2017년 최대규모의 대학 재정지원 사업으로 ‘12년도부터 5년간 추진되어온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의 후속사업이다.

? 지난 5년간 추진된 LINC사업은 대학교원 업적평가에 산학협력 실적을 하도록 학칙 개정을 유도하는 등 대학의 체질을 산업계 친화형으로 변모시키고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 , 현장실습 등 산업체 연계 교육과정 운영과 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종합패키지 형식으로 지원함으로써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LINC+ 사업은 (가칭)Post-LINC로 불리던 LINC사업의 후속사업 신규 추진되는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사업을 통합한 형태로,

- 각각의 사업을 LINC+사업 내 산학협력 고도화형”,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으로 유형화하여 설계되었다.

- 지난해 교육부는 대학과 산업계간 연계·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두 사업의 통합을 통해 사업구조 단순화 및 재정지원의 효과성 극대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참고 : LINCLINC+ 사업 간 유형 구분>

LINC 사업 (‘12~’16)

LINC+ 사업 ('17~)

일반대

전문대

일반대

전문대

기술혁신형

산학협력선도형

산학협력 고도화형

15

10

55교 내외

15교 내외

현장밀착형

현장실습집중형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

42

20

20교 내외

44개교 내외

 

 
출처표시_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교육부(이)가 창작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 기본계획 발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