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광장 > 대학교육 2018-02-26 19:59 우리나라 대학 사회공헌 활성화를 의한 기제로써 대학평가 내용을 변경합시다. kakao-*** 공유하기 0 공감3 비공감0 2011년부터 세계적인 고등교육의 질관리 체제에 부응하고, 대학이 교육기관으로서 최소한의 기본요건과 특성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기관평가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다.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성과 및 사회적 책무】 평가영역은 대학의 사회적 책임(USR)을 평가하는 내용이다. 사회적 책무는 넓은 의미의 책임(Responsibility)개념 중에서 행정작용에서의 책임을 나타내는 사회적 책무(Social Accountability)로 해석된다. 따라서 대학의 사회적 책무를 넓은 의미의 사회적 책임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또한 동전의 양면과 같이 사회책임과 사회공헌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우리나라는 대학의 책임이라는 용어보다는 사회공헌을 더 선호하다. 영미국가 대학들은 【Social Responsibility】보다는 【COMMITMENT】를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대학기관평가인증 【사회적 책무】 평가영역의 “사회봉사 정책”, “사회봉사 실적” 평가준거는 “사회공헌 정책”, “사회공헌 실적”으로 새로운 대학의 사명(Mission)에 맞게 용어 변경을 제안한다. 실질적으로 사회봉사와 사회공헌은 다른 개념이므로, 사회공헌 활동에 부합되는 내용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업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활동을 기업의 사회봉사와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과 같다. 또한 전 지구적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기후변화체제인 파리협약(Paris Climate Change Accord) 이행과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달성을 위해 실질적으로 현행 대학의 사회봉사 담당 조직을 사회공헌을 위한 지역체 협력 전담조직으로 변경하고,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위한 소통 창구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기존 사회봉사 관련 교과목도 시대 요구를 반영한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이하 GCE), 지역사회 경험학습(Community Based Learning), 사회혁신 인재 양성 및 기존 교과목에 사회혁신 내용을 추가하는 다양한 사회공헌 교과목으로 변경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대학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그린캠퍼스 관련 교과목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도 추가 되어야 한다. 공감3 비공감0